생활은 집에서 보호는 사회가…‘미래의 노인 복지’ 어떻게? / KBS뉴스(News)
지난해 이미 고령사회가 된 우리나라는, 8년 뒤면 초고령사회에 들어서는데요.
급속한 노령화에 홀로 사는 노인이 늘면 사회의 부담도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정부가 종합 대책을 내놨습니다.
조혜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박순자 할머니는 1년 전 이 임대아파트로 이사했습니다.
노인들이 지내기 좋게 문턱을 낮추고 곳곳에 안전봉을 설치한 이른바 케어안심주택입니다.
[박순자/케어안심주택 거주자 : "(그전에는) 화장실에서도 한 2번 넘어졌었어. 그런데 여기는 붙잡을 것도 있지 다 좋아 아주. 여기서는 한 번도 안 넘어졌어."]
바로 옆에 있는 지역 복지관에서 필요할 때 물리치료도 받을 수 있습니다.
정부가 이런 케어안심주택을 2025년까지 18만 호로 늘리기로 했습니다.
노인 중 절반 이상은 몸이 불편해도 집에서 생활하기를 바랍니다.
노인들이 살던 곳에서 그대로 살며 건강히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돕는 게 이번 정책의 핵심입니다.
인근 복지관 등과 연계해 가사 도움과 간병 등 다양한 재가 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입니다.
왕진 의료사업도 시범 시행합니다.
하지만 아직 방문 의료서비스는 혈압 체크 등 초보적인 수준에 그칩니다.
의료기관이 아닌 곳에서 하는 의료행위는 법으로 제한되기 때문입니다.
관련 재정을 마련하고 흩어진 복지서비스를 통합하기 위한 법적 근거도 미비합니다.
[정순둘/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근거가 되는 법을 만들어서 이제 모든 센터가 어떻게 여기에 들어올 것인가, 우선순위로 어떤 센터가 먼저 설립이 돼야 하는지에 대해 고려해 볼 필요가 있을 것 같아요."]
정부는 이번에 발표한 지역 사회 중심의 노인 돌봄 모델을 내년 6월부터 2년간 12개 시군구에 먼저 적용한 뒤 전국으로 확대해갈 계획입니다.
KBS 뉴스 조혜진입니다.
KBS News
언제, 어디서나 KBS 뉴스
인기 추천 동영상
- 관련된 내용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