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달

건강활동

건강방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소개합니다.

머릿속 지우개 '치매'…근원적 치료제 나온다 / YTN 사이언스

2020-09-29 조회수 384회

  • 0
  • 0
■ 이성규 / 과학뉴스팀 기자 [앵커] 바이오 분야 핫이슈와 트렌드를 알아보는 '카페 B' 코너입니다. 사이언스 투데이 바이오 길라잡이, 이성규 기자 나왔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어떤 주제를 다룰 건지요? [기자] 가벼운 얘기부터 먼저 할까 해요. 좀 오래된 영화긴 한데, 윌리엄 와일러 감독의 '벤허' 봤나요? [앵커] 아 벤허, 작년에 리메이크가 되기도 하고 뮤지컬도 하고 있더라고요. 역대 최다인 아카데미상 11개 부문을 수상한 명작이잖아요. [기자] 와일러 감독은 수상 소감에서 "신이여, 정녕 제가 이 영화를 만들었습니까", 라는 말을 해 화제가 됐었죠. 주연 배우인 찰턴 헤스턴이 전차를 모는 장면은 영화사에 길이 남을 명장면으로 회자 되고요. 이 벤허하곤 다른 얘긴 데, TV 드라마 '형사 콜롬보'도 아나요? [앵커] 많이 들어보긴 한 것 같은데 보지는 못했어요. [기자] 어눌한 것 같으면서도 논리적으로 사건을 파헤쳐 콜롬보 신드롬을 일으켰던 TV 드라마죠. 그런데 벤허의 주연 배우인 찰턴 헤스턴과 콜롬보의 주인공 피터 포크는 서로 공통점이 있어요, 뭔지 아세요? [앵커] 글쎄요. 잘 모르겠는데요. 뭔가요? [기자] 두 배우는 모두 뛰어난 연기력으로 대중의 사랑을 받았는데요. '치매'로 사망했다는 공통점도 있습니다. [앵커] 치매, 기억을 점점 잃게 되는 질환이잖아요. 그래서 환자뿐만 아니라, 가족들도 괴로운 질병인데요. 치매의 원인은 밝혀진 건가요? [기자] 치매를 일으키는 원인 물질로 아밀로이드 베타와 타우 단백질이 오랫동안 연구됐죠. 현재 개발 중인 대부분의 치매 치료제는 아밀로이드 베타나 타우를 표적으로 하고 있고요. 이들 외에도 최근 연구를 통해 다른 요인들도 치매에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습니다. [앵커] 네, 그렇군요. 어떤 요인들이 있는지 몇 가지 더 설명해주시죠? [기자] 하나는 당뇨와 치매 연관성인데요. 치매는 제3의 당뇨라는 말도 있거든요. 당뇨 환자의 2/3 정도가 나이가 들면, 치매에 걸리기 때문인데요. 당뇨병은 우리 몸의 인슐린에 문제가 생겨 발생하는데요. 인슐린이 세포에 에너지원인 포도당을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뇌세포에서 인슐린 기능에 문제가 생기면, 에너지원인 포도당이 부족해져 뇌세포가 파괴되는 겁니다. 또 장내 미생물도 치매에 영...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www.ytnscience.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0082&s_hcd=0010&key=201711021339244263
YTN 사이언스 과학 좋아하는 사람 여기여기 붙어라~! 궁금했던 과학지식 여기 다~ 있다! YTN사이언스에서 신나고 재미있는 과학을 만나보세요 :) YTN사이언스는 한국의 뉴스채널 YTN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손잡고 함께 운영하는 우리나라 최초의 24시간 과학전문 방송입니다. http://science.ytn.co.kr/

인기 추천 동영상

  • 관련된 내용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