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분류 질병백과
- 관련 질병 백내장
- 개요
-
노화로 인해 생기게 되는 안구 질환인 백내장은 단순히 노안이라고 생각하여 치료를 늦게 받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눈은 노화가 가장 빨리 진행되는 곳이며 백내장에 걸렸을 때는 자각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안일하게 생각하지 말고 즉시 병원에 가서 진찰 및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 백내장으로 인한 시력감퇴
-
백내장은 눈 안에 위치한 수정체가 혼탁하게 변하면서 시야가 뿌옇게 보이는 것을 말합니다. 그래서 눈으로 빛이 들어가게 되면 망막에 상이 제대로 맺히지 않게 되며 수정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빛이 모이지 않고 흩어지게 되는 것인데 이때 이전보다 좋지 못한 시력을 가지게 되면서 잘 보이던 것들도 잘 보이지 않게 되어 일상생활에 많은 불편함을 겪게 됩니다. 이는 노화의 원인도 있지만 최근에는 나이가 많지 않은 젊은이들에게도 많이 발생되는 질병입니다. 스마트폰과 컴퓨터를 자주사용하고 스트레스와 과로의 원인으로 인해 눈이 받게 되는 피로도가 상당히 높아지기 때문에 젊은 사람들도 백내장에 걸려 시력이 감퇴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곤 합니다.
- 백내장으로 인한 근시와 복시
-
백내장이 발생하게 되는 원인은 명확하진 않지만 만약 이 질환이 발생하게 되었다면 당사자는
눈의 기능이 떨어지게 되면서 가까운 물체는 뚜렷하게 보이되 멀리 있는 물체나 글씨는 뚜렷하게 보이지 않는 증상을 말하는 근시, 백내장으로 인해서 근시가 생기게 되면 물체나 글씨의 형태가 망막 앞쪽에 맺히게 되어 이런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보통의 근시안을 가진 사람이라면 굴절능 안경이나 콘텍트렌즈, 레이저 수술, 오목렌즈 사용 등의 방법으로 이를 해결하겠지만 백내장으로 인한 근시의 경우에는 뿌옇게 변해버린 수정체를 근본적인 원인으로 삼고 나중에 근시 교정 방법을 이용하여 치료를 하게 되는 경우가 많으나 이것을 노안이라고 생각하고 제때 병원을 방문하지 않는 사람들이 늘고 있어 치료가 늦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복시는 단 하나의 물체가 2개로 보이는 것을 말하며 이 또한 백내장이 생기며 발생할 수 있는 현상입니다.
- 백내장으로 인한 주맹현상
-
우리가 익히 잘 알고 있는 야맹증은 낮에 잘 보이되 어두컴컴한 실내나 밤이 되면 시야가 잘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하지만 백내장으로 인해 주맹현상이 생기게 되면 이와는 반대로 어두운 곳에서 오히려 더 좋은 시력과 시야 확보를 하게 되고 밝은 곳에선 잘 보이지 않게 됩니다. 일반적이지 않기 때문에 이해가 가지 않으시겠지만 백내장이라는 질환을 가지게 되면 이와 같은 주맹현상은 흔히 일어나는 증상이기에 겪어보신 분들도 많이 계실겁니다. 하지만 백내장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 모두에게 일어나는 것은 아니며 수정체의 중간 부부인 혼탁해진 백내장일 경우에만 위와 같은 주맹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혼탁해진 수정체로 인해 눈은 빛은 제대로 통과시키기 어려워지기에 빛이 없는 밤에는 빛을 많이 받기 위해서 동공이 커지게 되고 수정체의 노출 범위가 늘어나게 되면서 오히려 낮 보다 더 잘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 백내장 경과와 예방법
-
이 질환은 노화로 인해 일어날 수도 있지만 다른 이유로 인해서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조심해서 질환에 노출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합니다. 특히 자외선은 눈에 좋지 않기도 하고 백내장을 유발 시킬 수 있기에 외출을 할 때, 선글라스나 모자를 이용해서 햇빛을 차단시켜 주어야 하며 특히 해를 직접 보는 일은 없도록 해야 합니다. 그리고 당뇨나 비만, 흡연, 음주의 원인으로도 발생될 수 있으며 젊은 나이의 사람들에게는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과사용이 발생의 이유가 될 수 있기도 합니다. 그러니 위와 같이 백내장의 원인이 될 만한 것들을 지양하는 방법으로 백내장을 예방하고 발생 시기를 늦출 수 있습니다. 그리고 조기 진단이 중요하기에 눈에 외상을 입게 되거나 백내장 증상이 조금이라도 보이는 경우, 스테로이드와 같은 약물을 사용했을 경우엔 정기적으로 안과 검진을 받아 보아야 합니다.
- 백내장 치료법
-
먼저 산동검사를 통해서 우리의 동공을 확장시킨 후에 혼탁이 얼마나 진행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됩니다. 그래서 핵경화 백내장, 후낭하 백내장, 등으로 분류시킬 수 있으며 그에 맞는 치료 방식이 정해지게 됩니다. 이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약물치료와 물리적 치료가 이용될 수 있으나 약물치료만으로 혼탁해진 수정체를 맑게 변화시킨 어렵습니다. 단지 백내장이 더 악화되지 않도록 해주는 목적이기 때문에 부작용은 없지만 확실한 효과는 장담하지 못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상생활이 불가능 할 정도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수술을 하는 방식으로 초음파를 이용하게 될 것입니다. 초음파로 수정체의 내용물들을 모두 없앤 뒤에 인공적으로 만들어 낸 수정체를 삽입하게 됨으로써 이전과 같은 증상들이 일어나지 않게끔 도와줍니다. 이 인공수정체는 한 평생 써도 닳지 않는 영구적인 것이며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제거를 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리고 백내장이 이미 너무 많이 진행된 상태라면 수정체 자체가 딱딱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위와 같은 방식을 이용하기는 무리가 있습니다. 초음파를 이용한다고 해도 수술의 과정이 복잡하게 진행되며 그 기간도 길어져 회복이 되는데도 오랜 시간이 소요됩니다. 또한 선천적인 백내장이나 경과가 오래된 백내장의 경우에는 이를 치료한다고 해도 약시가 발생한 상태이기 때문에 이전과 같은 시력, 정상적인 시력을 갖기 힘들 수도 있으니 꼭 전문의와 상담을 한뒤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수 있기를 바라야 합니다.
- 출처 및 문헌정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장수넷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