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분류 질병백과
- 관련 질병 백내장
- 개요
-
백내장은 당뇨가 있는 사람들에게 자주 나타나며 노화로 인해 일어날 수 있어 흔한 질환으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누구나 걸릴 수 있는 질환이며 현재 수술 방법과 결과도 좋은 편이라 비교적 간단하다고 보여질 수 있으나 치료를 제때 받지 않으면 더 심각한 상황이 초래될 수 있는 질환 중 하나입니다.
- 정의
-
백내장은 50세 이상의 사람들에게 자주 발견되는 질환으로써 수정체가 일반 사람들과는 달리 하얗게 혼탁 되는 것을 말합니다. 특히 75세 이상의 고령자들에게서 자주 발견되는 만큼 노화의 원인이 가장 크며 당뇨의 합병증으로 이 질환을 얻기 쉽습니다. 그러한 이유가 아니더라도 자외선 혹은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생겨날 수도 있는 이 백내장이 더 심해진다면 수정체가 녹게 되면서 실명을 할 위험도 있습니다. 그 위험도를 더 높이게 되는 것은 흡연과 스테로이드 투여자, 다운 증후군, 윌슨병 환자가 있으며 화학물질을 자주 다뤄야 하는 청소 업체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유아의 경우에는 엄마의 배 속에서부터 걸려있을 확률이 높고 이를 선천성 백내장이라고 부릅니다. 제때 치료를 받게 되면 호전이 되지만 그렇지 않으면 시력이 더 이상 발달하지 않게 되고 위에서 언급했다시피 노화로 인해 노인들에게서도 자주 발생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에선 이에 대한 치료법이 잘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동네 병원에서도 이를 치료할 수 있는 기기와 기술력이 있어 치료를 받는다면 호전이 될 수 있습니다. 이 질환의 원인은 선천적이냐 후천적이냐에 따라서 달라지게 되는데 선천적일 경우에는 원인을 특정할 수 없으며 유전 혹은 자궁 내에서 태아에게 발생된 감염에 의한 것일 수 있고 후천적이라면 노화, 외상, 눈 속 염증이 그 이유가 될 수 있습니다.
- 증상
-
백내장이라는 질환을 가지게 되면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근거리나 원거리 상관하지 않고 시야가 뿌옇게 보이게 되기도 하고 시력저하나 복시가 생기기도 합니다. 그리고 수정체 혼탁과 위치, 정도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부분적인 혼탁만이 있을 경우에는 한쪽 눈을 가리고 보아도 사물이 두 개로 겹쳐 이상하게 보이기도 하며 수정체 중심 부위가 딱딱하게 변하면서 굴절률이 높아지고 그로 인해 이전보다 근거리에 있는 사물이나 글자들이 더 잘 보일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밝은 빛이 퍼져 보이게 되면서 차를 운전하다가 갑자기 밝은 빛을 만나게 되면 앞이 잘 보이지 않는 경우가 생기게 되며 어두운 실내나 야외가 더 잘 보이는 주맹 현상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는 사람마다 다르나 위와 같은 증상이 일어난다면 일상생활 속에서 불편함을 느끼기 때문에 바로 병원을 찾아가서 진단과 치료를 받게 됩니다. 하지만 시력이 감퇴하는 정도의 증상만이 있는 경우라면 백내장이라는 것을 눈치 채지 못하게 되고 그냥 노화로 인한 시력 저하라고만 생각하여 병원을 가지 않다가 나중에 병이 심하게 진행되어서야 알게 되곤 합니다. 그러면 치료의 기간과 비용이 더 늘어나게 되는 꼴이니 갑자기 눈, 시력에 이상이 생겼다고 생각이 되면 빠른 시일 내로 내원해 정밀검사를 통한 진단을 받아야만 합니다.
- 치료
-
만약 눈에 백내장이 있다고 진단을 받게 되면 즉시 치료를 받는 것이 좋으며 약물적인 치료와 수술적인 치료 둘 중에 하나를 선택할 수도 있고 두 가지 모두 받아야 할 수 있습니다. 만약 초기의 경우라면 백내장이 더 심화되는 속도를 약물적인 치료로 지연시킬 수 있지만 어느 정도 백내장이 심해진 상태라면 약물적인 치료로는 좋은 결과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백내장 수술을 실행하게 되는 것이며 합병증이 없다는 것이 확실시 되면 수술시기까지 결정을 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노안과 백내장이 함께 있는 경우에는 시력적인 교정과 함께 수정체 혼탁 문제 개선이 이루어져야 하기에 다초점 인공수정체를 눈에 삽입하는 과정을 거쳐 긍정적인 결과를 거두어 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의 수술은 동심원 모양의 홈을 인공수정체 표면에 만들어서 근거리, 장거리 상관없이 초점이 잘 맺히게 도와줍니다. 하지만 이는 환자의 나이와 각막두께, 모양을 고려하여야 하며 다른 질환의 유무도 중요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전반적인 사항들을 모두 파악한 후 의사의 결정에 따라야 합니다.
- 예방
-
선천적으로 가지고 태어난 백내장일 경우에는 예방법이 없으나 후천적으로 생긴 백내장이라면 야외 활동 시 선글라스를 착용하는 것으로 예방을 할 수 있습니다. 물론 노화로 인해 생기게 되기도 하지만 다른 이유로 인해 이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스테로이드와 같은 약을 사용하지 않아야 하며 눈에 외상을 입지 않도록 조심해야할 필요도 있습니다. 그리고 빠른 대처가 필요하기에 정기적으로 안과를 내원해 검진을 받음으로 질환의 유무와 이상 현상을 알아내고 적절한 치료를 받아 빠르게 회복할 수 있습니다.
- 수술 후 관리법
-
수술을 한 후의 관리도 당연히 중요합니다. 최소 3일 정도는 안정을 취하면서 2주 간은 눈안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세수도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될 수 있으면 세수는 물수건을 이용하는 것이 좋으며 무의식적으로 눈을 비비거나 긁는 일이 없도록 미리 안대를 착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수술한 눈에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조심하고 자외선은 치명적이기 때문에 햇빛을 보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합니다. 그리고 눈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염색과 음주, 사우나, 과한 운동은 피하는 것이 적합한 행동이라고 보여지고 있습니다.
- 출처 및 문헌정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장수넷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