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분류 식생활길잡이
- 개요
-
2020년 현재 대한민국의 노인인구비율은 15%를 넘어섰습니다. 대부분의 노인들은 노화에 따른 만성 질환을 가지고 있어 향후 노인인구비율이 높아질수록 노인인구의 건강 문제도 심화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러한 노인의 만성질환은 잘못된 생활습관과 관련성이 깊습니다. 짧게는 10년, 길게는 40년 이상의 세월동안 쌓여온 나쁜 습관들로 인해 발병하게 된다면 단기간에 완치되기 어렵고 평생을 안고 가야하는 품속의 가시와도 같은 존재가 되어버립니다. 그렇기 때문에 고령사회의 흐름에 맞춰 대두되는것이 '건강한 식생활'입니다. 음식은 그 무엇보다도 우리 몸의 건강에 먼저 영향을 미치는 요인입니다.
대표적인 만성 질환들은 이 식생활에 원인을 두고 있기 때문에 더욱 더 관심을 갖고 건강한 식습관을 만들어 나가야 합니다.
- 1. 노인의 건강한 식습관
-
1) 식사 시 자세
많은 노인들이 씹고 삼키는데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노인 사망의 주 원인이 되는 것들 중 하나가 바로 '식사시의 흡인 폐렴' 입니다. 따라서 건강한 식습관을 영위하기 위하여 식사시에는 항상 바람직한 자세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첫번째로는 허리를 곧게 펴는것입니다. 더불어 약간 고개를 숙이고 턱을 당긴 자세로 음식물이 기도로 흡인되지 않고 식도로 원활하게 이동 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2) 천천히 씹는 습관
앞서 말씀드린 흡인 폐렴을 예방하기 위하여 음식물은 최대한 부드럽고 잘 씹히는 종류를 선택하며 조금씩, 천천히 씹고 삼키는 습관을 길러야 합니다.
3) 구강 청결 철저히
구강 청결은 구강 건강과 직결되며 구강이 건강하지 않은 사람은 식욕저하와 함께 영양부족 혹은 영양 불균형을 초래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식사 후에는 반드시 구강 청결을 유지하셔야 합니다.
- 2. 노인의 건강한 식단
-
1) 다양한 식재료를 이용한 균형잡힌 식단
노인들은 노화로 인해 전신적인 에너지의 불균형이 두드러집니다. 이것이 심화되면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되며 결과적으로 만성 질환에 노출됩니다. 따라서 탄수화물이나 지방 섭취에 치중된 식단을 지양하며 콩류, 살코기, 채소, 과일 등을 통해 비타민, 무기질, 식이섬유 등의 다양한 영양소를 섭취해야 합니다.
2) 짜게 먹지 않기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짜게 먹는 습관을 고수해왔습니다. 특히 이러한 식습관을 오랫동안 지속해 온 노인들은 나트륨 과다섭취로 인한 고혈압과 그에 관련된 뇌혈관, 심장잘환에 취약합니다. 또한 노인의 신체적 특성상 혀의 미뢰 능력이 떨어져 짠 맛을 쉽게 느끼지 못합니다. 따라서 더욱 짜게 간을 맞추게 되어 이러한 문제가 심화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단순 나트륨의 과다한 섭취는 단순 고혈압 뿐만아니라 위암, 대장암 등 암성 질환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어 소금의 섭취를 최소화하고 대신 간장이나 다른 조미료를 선택하여 식단을 맞추어야 합니다.
- 출처 및 문헌정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장수넷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