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분류 생활가이드
- 분류 생활가이드
- ‘약물상호작용’ 들어보셨나요?
-
노인실태조사(2017)에 따르면 전체 노인의 89.5%가 의사의 진단을 받은 만성질병을 갖고 있으며, 이중 51%는 3개 이상의 만성질병을 갖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만성질병으로 인해 처방약을 복용하고 있는 비율은 전체 노인의 83.5%이며 5개 이상 다약제를 복용하는 노인도 46.6%으로 절반 가까이 됩니다. 5개 이상의 다약제를 복용하는 노인들은 그렇지 않은 노인들에 비해 입원 위험이 18%, 사망 위험은 25%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 이유는 바로 ‘약물상호작용’ 때문입니다. 이처럼 여러 질병으로 인해 여러 종류의 약을 한 번에 복용할 때는 약물 간 상호작용을 조심해야 합니다. 복용하는 약들이 서로 반응하여 부작용, 즉 약물상호작용이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약물상호작용은 전문가를 통해 처방 받은 약뿐만 아니라 처방전 없이 구입할 수 있는 약이나 건강기능식품, 각종 음식들 간에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다약제 복용의 영향
-
노년기에는 고혈압, 당뇨 등 대표적인 만성질환을 골고루 보유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의 노인들이 심뇌혈관 질환, 당뇨, 고혈압 치료를 위한 약을 기본적으로 복용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노년기에 자주 복용하는 약은 관절염 치료를 위한 진통 소염제, 잦은 소화불량으로 인한 소화제, 요실금과 같은 배뇨 문제로 인한 비뇨기약이 있으며 우울증이나 불면증 치료를 위한 약도 있습니다.
이렇게 많은 약을 한 번에 복용할 경우 약물 부작용이 발생할 위험은 매우 커집니다. 약물 부작용의 증상으로는 출혈, 위염, 위궤양, 빈혈, 간 기능 저하, 신장 기능 저하, 구강 건조, 심한 졸음 등이 있습니다. 위장 기능이 약하고 신체 변화에 취약한 노인의 경우 이로 인한 장기 손상이 심각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다약제 복용은 명백한 신체 손상을 일으키지 않더라도 약물 간 상호작용을 일으켜 치료 효과를 떨어트리기도 하므로 아래의 주의사항을 반드시 참고해야 합니다.
- 노년기 약 복용법
-
1. 병원 또는 약국에서
- 의사와 상담 시 복용 중인 모든 양약, 한약, 영양제, 보조식품 등에 대해 말합니다.
- 과거에 복용했던 약에 부작용이 있었다면 말합니다.
- 처방 받는 약의 효과와 부작용에 대해 물어보고 알아둡니다.
- 가능한 단골 병원, 단골 약국을 이용합니다.
- 약 복용 방법에 대한 의사와 약사의 지도사항을 잘 기억하거나 적어둡니다.
2. 집에서
- 복용하는 약의 효과와 복용 방법을 알아 둡니다.
- 약은 의사와 약사의 복약 지도에 따라 올바른 방법으로 먹습니다.
- 약을 먹고 부작용이 느껴진다면 의사나 약사에게 말합니다.
- 마음대로 약을 더 먹거나 덜 먹지 않습니다.
- 약은 반드시 물과 함께 먹고 술, 커피, 유제품, 주스와 함께 먹지 않습니다.
- 약을 먹어야 하는 기간을 꼭 채워 먹습니다.
- 자신이 처방 받은 약을 다른 사람이 먹게 하지 않습니다.
- 약은 서늘하고 건조한 곳에 직사광선을 피해 보관합니다.
- 불필요한 약, 영양제, 보조식품을 최대한 줄입니다.
- 양약, 한약, 영양제, 보조식품 등을 추가로 먹기 전에 의사나 약사와 상의합니다.
- 출처 및 문헌정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장수넷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